티스토리 뷰

반응형

개인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홈택스에서 안 되는 이유는?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그런데 많은 개인사업자 분들이 홈택스에 접속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려고 하다가 '개인사업자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를 보고 당황하곤 합니다.

"나는 개인사업자인데 왜 안 되는 거지?" 하고요.

이번 글에서는 왜 이런 메시지가 뜨는지, 그리고 정확한 해결 방법은 무엇인지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왜 '개인사업자는 종합소득세를 홈택스에서 신고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뜰까?

사실, 개인사업자도 종합소득세 신고는 홈택스에서 가능합니다.

다만, 로그인 방법이 잘못되었을 뿐입니다.

🔑 핵심 포인트

종합소득세는 ‘개인의 소득’에 대한 세금입니다.

따라서 홈택스에서는 ‘주민등록번호 기준’ 인증서로 로그인해야만 신고 가능합니다.


🚫 사업자 인증서(사업자등록번호 로그인)는 왜 안 되는 걸까?

개인사업자라 해도, 사업자등록번호로 로그인하면 홈택스는 그 사용자를 "법인 또는 사업체"로 인식합니다.

하지만 **종합소득세는 법인세가 아니라 '개인소득세'**이기 때문에,

사업자 로그인 상태에서는 해당 메뉴가 아예 비활성화되어 접근조차 할 수 없습니다.


✅ 올바른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홈택스 기준)

  1. 홈택스 접속
  2. ‘개인용 인증서’로 로그인 (주민등록번호 기반)
    • 은행용 공동인증서
    • 금융인증서 (카카오, KB, PASS 등)
  3. 상단 메뉴: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 [정기신고(확정)]
  4. ‘신고서 작성하기’ 클릭 후 신고 진행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사업자용 인증서밖에 없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본인 명의의 개인 인증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은행, 민간 인증기관 또는 홈택스 자체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Q. 공동사업자도 개인으로 로그인해야 하나요?

A. 네. 공동사업자 각각이 개인별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

 

"개인사업자인데 왜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가 안 될까?"라는 질문은 대부분 **‘로그인 방식의 착오’**에서 비롯됩니다.

사업자가 아닌 개인(주민등록번호) 기준으로 로그인하면 문제 없이 신고 가능하니,

꼭 인증서만 잘 선택해 로그인하시고 원활하게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